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[챗GPT vs Gemini] 생명과학 기초 질문 01 :: 오토파지 과정에서 리소좀과 구분되는 '오토파고좀'의 역할 안녕하세요, 이번엔 지난 한 달 동안 생명과학 논문들을 읽으면서 궁금했던 생명과학 기초 질문과 그에 대한 답변들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. 한 달 정도 해본 게 있는데요. 하루에 국내 연구진의 최신 논문 소개 글 하나(BRIC에 올라온 한빛사 인터뷰나 뉴스 등), 국외 연구진의 최신 논문 소개 글 하나(BioTechniques 혹은 RNA-seq Blog 등), 그리고 관심 가는 논문 하나 골라서 읽고 노션에 비공개로 정리해보았습니다. 물론, 제 시간과 역량은 유한하기에 항상 제대로 읽기는 어려웠지만 그래도 NoteBookLM과 같은 요즘 좋은 AI 툴이 제 이해를 도와주었습니다. 사실 논문 읽기를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아직 제 수준에선 하나하나 꼼꼼하게 읽는 게 우선일 수도 있을 듯 합니다. 우선 어.. 더보기 [57일차] MASC 모델을 활용한 세포 클러스터 구성 비율과 성별 간 연관성 분석 안녕하세요, 이번 글에서는 최근에 챗GPT를 활용해 진행해본 MASC 모델 활용 예제를 정리해보고자 합니다. 참고로 본 툴은 이전에 읽은 논문에서 활용된 툴로, 예제는 논문 데이터가 아닌 Seurat 튜토리얼에서 제공하는 간단한 PBMC 데이터로 가볍게 진행해보았습니다. [55일차] 오픈 엑세스 논문 정리 :: Single-cell eQTL mapping reveals cell-type-specific genes associated with the risk안녕하세요, 이번 글에서는 오픈 엑세스 논문을 하나 정리해보고자 합니다. 논문 제목은 'Single-cell eQTL mapping reveals cell-type-specific genes associated with the risk of gas.. 더보기 [56일차] 오픈 엑세스 논문 정리 2 :: 단일세포 eQTL 매핑을 통한 위암 위험과 연관된 세포 유형-특이적 유전자 규명 안녕하세요, 전 글에 이어서 'Single-cell eQTL mapping reveals cell-type-specific genes associated with the risk of gastric cancer' 논문 정리를 해보겠습니다. [55일차] 오픈 엑세스 논문 정리 :: Single-cell eQTL mapping reveals cell-type-specific genes associated with the risk안녕하세요, 이번 글에서는 오픈 엑세스 논문을 하나 정리해보고자 합니다. 논문 제목은 'Single-cell eQTL mapping reveals cell-type-specific genes associated with the risk of gastric cancer'로, 저번 .. 더보기 [55일차] 오픈 엑세스 논문 정리 :: Single-cell eQTL mapping reveals cell-type-specific genes associated with the risk of gastric cancer 안녕하세요, 이번 글에서는 오픈 엑세스 논문을 하나 정리해보고자 합니다. 논문 제목은 'Single-cell eQTL mapping reveals cell-type-specific genes associated with the risk of gastric cancer'로, 저번 달에 cell genomics 저널에 개재된 논문입니다. Single-cell eQTL mapping reveals cell-type-specific genes associated with the risk of gastric cancer - PMCSummary Most expression quantitative trait locus (eQTL) analyses have been conducted in heterogeneous .. 더보기 [54일차] single cell RNA-seq을 활용한 장내미생물과 숙주 면역계 간 상호작용 분석 동향 안녕하세요, 이번 글에서는 단일세포 RNA 시퀀싱(single cell RNA-seq)을 활용해 장내 미생물과 숙주 면역계 간의 상호작용 분석을 진행한 사례들과 본 상호작용 분석을 위해 개발된 몇 가지 주요 툴들을 간단히 소개하고자 합니다. 참고로, 이전 글에서는 '장내 미생물과 숙주 면역계 간의 상호작용'에 대한 배경 설명, 그리고 장내 미생물과 여러 질병들 간의 관계들을 다루어보았습니다. [48일차] 개요, 장내 미생물과 숙주 면역계 간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(+ 항생제의 위험성)안녕하세요, 오늘은 장내미생물과 숙주 면역계 간의 상호작용 양상 및 분석 툴에 대해 다룬 자료 및 논문들의 내용을 정리해보고자 하는데요. 내용이 길어질 것 같아 몇 가지 주제로 나눠 시리tkmstudy.tistory... 더보기 인코렌탈(incoRENTAL) 서비스로 CLC Genomics Workbench Premium의 Single Cell Module 일주일 간 활용해본 후기 안녕하세요, 이번 글에서는 인실리코젠(insilicogen)에서 운영하는 생물정보분석 단기 렌탈 서비스인 '인코렌탈(incoRENTAL)'에 대해 여러분께 소개해보고자 합니다. - 본 글은 일정 수수료를 받고 일주일 간 인코렌탈 서비스를 체험하며 작성한 솔직 후기임을 밝힙니다 - 인코렌탈은 NGS 분석을 위해 여러 솔루션을 활용해야 할 때, 그러면서도 장기간 이용할 필요는 없어 단기간 동안만 이용하고자 할 때 유용한 서비스입니다. 인코렌탈 | (주)인실리코젠-생물정보 전문기업요청하신 시험판 관련 문의는 정상 접수되었습니다. 연동된 계정으로 영업일 기준 2~3일 내 답변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.insilicogen.com 저는 인코렌탈이 제공해주는 솔루션 중 두번째 솔루션인 'CLC Genomics W.. 더보기 [53일차] 뇌질환과 장내미생물 : 알츠하이머병, SCRD, MGBA (microbiota-gut-brain axis) 안녕하세요, 이번엔 '질환과 장내미생물' 시리즈 중 마지막 질환으로 뇌질환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. 참고로 이전 글에선 '자가면역질환과 장내미생물'에 대해 다뤘었죠. [52일차] 자가면역질환과 장내미생물 : 자가면역 발생 원인, Prevotella histicola, 류마티스 관절염이번 글에서도 질병과 장내미생물 간의 관계에 대한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지금까지 저는 당뇨병, 감염 및 염증성 질환, 암과 장내미생물 간의 관계에 대해 다루어보았습니다. [51일차]tkmstudy.tistory.com 우선 항상 그랬듯이 '뇌 질환'은 어떤 질환이며, 뇌 질환은 왜 발생하게 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 먼저 '뇌'에 대해서 잠깐 설명해보겠습니다. 우리는 '뇌'를 하나씩 갖고 있죠? 뇌는 '생각.. 더보기 [52일차] 자가면역질환과 장내미생물 : 자가면역 발생 원인, Prevotella histicola, 류마티스 관절염 이번 글에서도 질병과 장내미생물 간의 관계에 대한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지금까지 저는 당뇨병, 감염 및 염증성 질환, 암과 장내미생물 간의 관계에 대해 다루어보았습니다. [51일차] 암(cancer)과 장내 미생물 : 암의 원인 및 종류, Fusobacterium nucleatum, 그리고 Anti PD-1 therapy안녕하세요, 이번에도 질병과 장내 미생물 간의 관계에 대해 다루는 글을 작성해보고자 합니다. [49일차] 당뇨병(diabetes mellitus)과 장내미생물 : 제1형 당뇨병, 제2형 당뇨병안녕하세요, 이번tkmstudy.tistory.com 오늘은 자가면역질환과 장내미생물 간의 관계를 간단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. 먼저 자가면역질환이 무엇인지 부터 알아보겠습니다. 자가면역.. 더보기 이전 1 2 3 4 ··· 14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