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생물정보학(바이오인포매틱스)

[54일차] single cell RNA-seq을 활용한 장내미생물과 숙주 면역계 간 상호작용 분석 동향 안녕하세요, 이번 글에서는 단일세포 RNA 시퀀싱(single cell RNA-seq)을 활용해 장내 미생물과 숙주 면역계 간의 상호작용 분석을 진행한 사례들과 본 상호작용 분석을 위해 개발된 몇 가지 주요 툴들을 간단히 소개하고자 합니다. 참고로, 이전 글에서는 '장내 미생물과 숙주 면역계 간의 상호작용'에 대한 배경 설명, 그리고 장내 미생물과 여러 질병들 간의 관계들을 다루어보았습니다. [48일차] 개요, 장내 미생물과 숙주 면역계 간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(+ 항생제의 위험성)안녕하세요, 오늘은 장내미생물과 숙주 면역계 간의 상호작용 양상 및 분석 툴에 대해 다룬 자료 및 논문들의 내용을 정리해보고자 하는데요. 내용이 길어질 것 같아 몇 가지 주제로 나눠 시리tkmstudy.tistory... 더보기
인코렌탈(incoRENTAL) 서비스로 CLC Genomics Workbench Premium의 Single Cell Module 일주일 간 활용해본 후기 안녕하세요, 이번 글에서는 인실리코젠(insilicogen)에서 운영하는 생물정보분석 단기 렌탈 서비스인 '인코렌탈(incoRENTAL)'에 대해 여러분께 소개해보고자 합니다. - 본 글은 일정 수수료를 받고 일주일 간 인코렌탈 서비스를 체험하며 작성한 솔직 후기임을 밝힙니다 - 인코렌탈은 NGS 분석을 위해 여러 솔루션을 활용해야 할 때, 그러면서도 장기간 이용할 필요는 없어 단기간 동안만 이용하고자 할 때 유용한 서비스입니다. 인코렌탈 | (주)인실리코젠-생물정보 전문기업요청하신 시험판 관련 문의는 정상 접수되었습니다. 연동된 계정으로 영업일 기준 2~3일 내 답변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.insilicogen.com 저는 인코렌탈이 제공해주는 솔루션 중 두번째 솔루션인 'CLC Genomics W.. 더보기
[53일차] 뇌질환과 장내미생물 : 알츠하이머병, SCRD, MGBA (microbiota-gut-brain axis) 안녕하세요, 이번엔 '질환과 장내미생물' 시리즈 중 마지막 질환으로 뇌질환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. 참고로 이전 글에선 '자가면역질환과 장내미생물'에 대해 다뤘었죠. [52일차] 자가면역질환과 장내미생물 : 자가면역 발생 원인, Prevotella histicola, 류마티스 관절염이번 글에서도 질병과 장내미생물 간의 관계에 대한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지금까지 저는 당뇨병, 감염 및 염증성 질환, 암과 장내미생물 간의 관계에 대해 다루어보았습니다. [51일차]tkmstudy.tistory.com 우선 항상 그랬듯이 '뇌 질환'은 어떤 질환이며, 뇌 질환은 왜 발생하게 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 먼저 '뇌'에 대해서 잠깐 설명해보겠습니다. 우리는 '뇌'를 하나씩 갖고 있죠? 뇌는 '생각.. 더보기
[52일차] 자가면역질환과 장내미생물 : 자가면역 발생 원인, Prevotella histicola, 류마티스 관절염 이번 글에서도 질병과 장내미생물 간의 관계에 대한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지금까지 저는 당뇨병, 감염 및 염증성 질환, 암과 장내미생물 간의 관계에 대해 다루어보았습니다. [51일차] 암(cancer)과 장내 미생물 : 암의 원인 및 종류, Fusobacterium nucleatum, 그리고 Anti PD-1 therapy안녕하세요, 이번에도 질병과 장내 미생물 간의 관계에 대해 다루는 글을 작성해보고자 합니다. [49일차] 당뇨병(diabetes mellitus)과 장내미생물 : 제1형 당뇨병, 제2형 당뇨병안녕하세요, 이번tkmstudy.tistory.com 오늘은 자가면역질환과 장내미생물 간의 관계를 간단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. 먼저 자가면역질환이 무엇인지 부터 알아보겠습니다. 자가면역.. 더보기
[51일차] 암(cancer)과 장내 미생물 : 암의 원인 및 종류, Fusobacterium nucleatum, 그리고 Anti PD-1 therapy 안녕하세요, 이번에도 질병과 장내 미생물 간의 관계에 대해 다루는 글을 작성해보고자 합니다.   [49일차] 당뇨병(diabetes mellitus)과 장내미생물 : 제1형 당뇨병, 제2형 당뇨병안녕하세요, 이번 글에선 저번 글에 이어 '질병과 장내미생물'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.  [48일차] 개요, 장내 미생물과 숙주 면역계 간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(+ 항생제의 위험성)안tkmstudy.tistory.com  [50일차] 감염 및 염증성 질환과 장내 미생물 : Clostridioides difficile, SARS-CoV-2, IBD(Inflammatory Bowel Diseas안녕하세요, 이번 글에선 저번 '당뇨병과 장내 미생물'에 대해 다룬 글에 이어 '감염 및 염증성 질환과 장내 미생.. 더보기
[50일차] 감염 및 염증성 질환과 장내 미생물 : Clostridioides difficile, SARS-CoV-2, IBD(Inflammatory Bowel Disease) 안녕하세요, 이번 글에선 저번 '당뇨병과 장내 미생물'에 대해 다룬 글에 이어 '감염 및 염증성 질환과 장내 미생물'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. [49일차] 당뇨병(diabetes mellitus)과 장내미생물 : 제1형 당뇨병, 제2형 당뇨병안녕하세요, 이번 글에선 저번 글에 이어 '질병과 장내미생물'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. [48일차] 개요, 장내 미생물과 숙주 면역계 간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(+ 항생제의 위험성)안tkmstudy.tistory.com 1. 감염성 질환과 장내 미생물 감염(infection)은 병원체(세균),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이 우리 몸에 들어와서 그 수가 많아지는 것1)을 말합니다. 그렇게 미생물에 의해 감염되어 나타나는 질환을 '감염병(infectious d.. 더보기
[49일차] 당뇨병(diabetes mellitus)과 장내미생물 : 제1형 당뇨병, 제2형 당뇨병 안녕하세요, 이번 글에선 저번 글에 이어 '질병과 장내미생물'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.  [48일차] 개요, 장내 미생물과 숙주 면역계 간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(+ 항생제의 위험성)안녕하세요, 오늘은 장내미생물과 숙주 면역계 간의 상호작용 양상 및 분석 툴에 대해 다룬 자료 및 논문들의 내용을 정리해보고자 하는데요. 내용이 길어질 것 같아 몇 가지 주제로 나눠 시리tkmstudy.tistory.com    전 글에서 말했듯 장내 미생물들은  장 환경에서 장의 점막층, 상피세포, 면역세포 등과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하고 있습니다. 그만큼 장내 미생물의 불균형 상태에 이르게 되면 당뇨병, 감염 및 염증성 질환, 암, 자가면역질환, 만성신장질환, 뇌질환 등 각종 다양한 몸의 기능 문제를 발생시킬 수 .. 더보기
[48일차] 개요, 장내 미생물과 숙주 면역계 간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(+ 항생제의 위험성) 안녕하세요, 오늘은 장내미생물과 숙주 면역계 간의 상호작용 양상 및 분석 툴에 대해 다룬 자료 및 논문들의 내용을 정리해보고자 하는데요. 내용이 길어질 것 같아 몇 가지 주제로 나눠 시리즈로 작성해보고자 합니다. 논문을 주로 참고하긴 했지만 장내미생물과 숙주 면역계 간의 상호작용은 굉장히 복잡하고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은 듯 합니다. 그만큼 관련 내용을 이해함에 있어 제 배경지식과 경험의 한계가 있기에 오류가 많이 있을 수 있다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. 다음과 같은 순서로 정리해보고자 합니다. 1. 개요, 장내 미생물와 숙주 면역계 간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(+ 항생제의 위험성) 2. 질병과 장내미생물 : 당뇨병, 감염 및 염증성 질환, 암, 자가면역질환, 만성신장질환, 뇌질환 3. 장.. 더보기